Network(5)
-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NAS 서버 구축 1
라즈베리파이 3B를 이용해 NAS 서버를 구축 해보자. 1. 라즈비언OS 설치 익숙한 CentOS를 설치하려 했으나 NAS 서버 구축을 위한 OMV(Open Media Vault)의 설치가 apt-get 기반으로 스크립트가 짜여져 있어 맘편히 라즈비언OS를 설치했다. 2. OMV5 설치 아래 명령출을 입력해 설치를 진행한다. wget -O - https://github.com/OpenMediaVault-Plugin-Developers/installScript/raw/master/install | sudo bash 3. 재부팅 재부팅을 진행한다.
2021.10.10 -
데스크탑에 ESXI 준비 및 설치
기존에는 Hypervisor를 호스티드 방식인 vmware workstation, Hyper-V, Virtualbox 이 세가지만 써봤다. 하지만 집에서 안쓰는 데스크탑으로 서버를 만들어 보고싶어 베어메탈 방식인 Vmware Vsphere에 관심을 갖게 됬다. 베어메탈방식의 Hypervisor는 esxi, xen, Hyper-v가 있다. 독특하게 Hyper-V는 호스티드방식과 베어메탈 둘다 같은 이름으로 불리는 것 같다. 하지만 vmware의 esxi가 가장 유명하고 많이 쓰이며 안정성이 있고 기능이 많다고 알려져있다. vsphere 전체를 써볼 순 없으니 Hypervisor인 esxi만 설치를 해보기로 했다. 나는 esxi 6.7 버전을 내 컴퓨터에 설치를 했다. 먼저 6.7버전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2020.06.06 -
APIPA
APIPA(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DHCP 서버가 없는 네트워크에서 컴퓨터가 스스로에게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기능이다. 169.254.0.0 - 169.254.255.255 중에서 IP를 선택하고 ARP를 통해 사설망 안에 다른 IP주소가 있는지 확인 후 할당을 한다.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0.0 이다.
2020.02.27 -
OSI 7계층 및 네트워크 기초
1. OSI 7계층이란? OSI 7계층이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계층으로 나눈 모델을 말한다. 계층별로 나눔으로써 흐름을 이해하기 쉽고 과정별로 파악이 가능하다. 1.1. L1 Physical Layer L1 계층은 물리적인 데이터 통신을 의미하며 통신 단위는 Bit 이다. 대표 장비는 NIC, HUB, Fiber 등이 있다. 1.2. L2 DataLink Layer L2 계층은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Mac 주소를 가지고 통신을 하게된다. 통신 단위는 Frame 이다. 대표 장비는 Switch 등이 있다. 1.3. L3 Network Layer L3 계층은 서로다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
2020.02.17 -
Hypervisor
Hypervisor는 가상화를 구현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기술이다. OS마다 자원 관리 관련 명령과 규칙이 다른데, Hypervisor는 VM에게 하드웨어의 자원을 적절히 할당 해준다. bare-metal(native) bare-metal은 "어떤 소프트웨어도 담겨져 있지 않은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Hypervisor 구동 시 DOM0이라는 관리용 VM이 같이 구동된다. DOM0에서 얼마나 많은 일을 처리하느냐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전가상화(full virtuallization) 커널에서 사용하는 규칙은 운영체제마다 다르다. 따라서 각 VM들의 명령어가 달라 하드웨어가 알기 쉽게 전달하는 것이 Hipervisor 역할이다. 여기서 각 VM은 DOM0에게 명령을 전달하고, DOM0에서 이를 해..
2019.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