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 Develop/REST API(5)
-
[InteliJ + Spring Boot + Gradle] Rest API Server 구축하기(4) - mapper를 활용한 DB 연동
개발환경 IDE : InteliJ Spring Boot : 2.6.2 JDK : 17 1. MariaDB 생성 윈도우에 mariadb를 설치 한뒤 다음과 같은 테이블을 생성 해준다. 데이터는 임시로 아래와 같이 넣어준다. 2. MyBatis 라이브러리 의존성 추가 build.gradle 파일에 의존성을 추가해준다 dependencies { ~ // MyBatis 라이브러리 의존성 추가 implementation 'org.mybatis.spring.boot:mybatis-spring-boot-starter:2.2.0' runtimeOnly 'mysql:mysql-connector-java:8.0.25' } 3. DB 연동 application.yaml 파일에 아래와 같이 추가해준다. server: port..
2022.01.30 -
[InteliJ + Spring Boot + Gradle] Rest API Server 구축하기(3) - API 컨트롤러 및 서비스 생성 및 dto 활용
개발환경 IDE : InteliJ Spring Boot : 2.6.2 JDK : 17 1. DTO 생성 dto 패키지를 생성해주고 안에 UserInfo.java 자파클래스를 한개 생성한다. package com.kwaneung.apiserv.user.dto; import lombok.Data; @Data public class UserInfo { String name; Integer age; String role; } @Data : Lombok 어노테이션. getter와 setter를 생성해준다. 2. Service 수정 Service에 dto를 활용하는 로직을 추가한다. package com.kwaneung.apiserv.user.service; import com.kwaneung.apiserv.use..
2022.01.14 -
[InteliJ + Spring Boot + Gradle] Rest API Server 구축하기(2) - API 컨트롤러 및 서비스 생성
개발환경 IDE : InteliJ Spring Boot : 2.6.2 JDK : 17 1. Controller 생성 controller 패키지를 생성해주고 안에 TestController.java 자바클래스를 한개 생성한다. package com.kwaneung.apiserv.user.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us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GetMapping("..
2022.01.14 -
[InteliJ + Spring Boot + Gradle] Rest API Server 구축하기(1) - 개발 준비
Rest API 서버를 파이썬으로 사용해보면서 스프링으로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개발환경 IDE : InteliJ Spring Boot : 2.6.2 JDK : 17 1. 프로젝트 생성 https://start.spring.io/ 위 사이트에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 해준다. Project : Gradle Project Language : Java Spring Boot : 2.6.2 Metadata는 편한 대로 작성한다. Packaging은 Jar로 선택했고, Java는 17로 선택했다. Dependencies에서 플러그인 두 개를 추가해준다. Lambok : getter, setter 등을 자동 생성해주는 플러그인 Spring Web : 스프링의 웹서비스를 제공하게 해주는 플러그인 2. 프로젝트 ..
2022.01.10 -
REST API란?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서 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이다. REST의 구성 Resource : URI 자원 Verb : HTTP Method Representation : JSON, XML, TEST, RSS 등 여러 형태 REST의 특징 Uniform interface -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 Stateless - 무상태성 성격. 작업을 위한 상태 정보를 따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는다 Cacheable - HTTP라는 기존 웹 표준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웹에서 사용하는 기존 인프라를 그대로 이용 가능 따라서 HTTP가 가진 캐싱 기능 적용 가능 Self-descriptivenes..
2019.09.02